본문 바로가기
인테리어와 가구 꿀팁

[셀프 인테리어] 인테리어 공정과 순서(초보용)

by 몽카몽카 2023. 2. 11.
반응형

#0 셀프 인테리어에 도전하려는 모든 이에게

셀인홈 카페

오늘은 엄두가 안 났던 글을 하나 써보려고 해요.

바로 셀프 인테리어에 대한 이야기입니다.

 

엄두가 안 났던 이유는 전달할 것의 양이 정말 방대하고

그걸 간단하게 잘 정리해서 전달하기도 쉽지 않기 때문인데요

 

그럼에도 한번 시작해보려 하는 이유 중 하나는 제 지인이

여러 가지 사정으로 셀프 인테리어를 하게 되었는데

 

인테리어 일에 대한 제 기준과 원칙 때문에 직접적으로

많은 도움을 주지 못한 게 마음에 걸려서

이렇게 글로나마 풀어보려 합니다.

코리안 스타일로 최대한 간단, 명료하게 전달해 볼게요!

 

(셀프인테리어를 함에 있어서 당연하겠지만 모든 공정에서의 필수사항 작업자를 직접 섭외하는 것입니다.

'숨고'나 인터넷 등에서 비교견적 받으셔서 선정. 자재 또한 직접 주문할지, 공정별 작업자분들께 요청할지 결정)


아래 모든 공정의 순서나 과정은 현장상황과 개개인의 사정에 따라 생략될 수도, 바뀔 수도 있습니다.


#1 공사동의서 / 관리사무소 신고 / 공사안내문 게시 / 행위허가신고

우선 관리사무소에 인테리어를 한다고 신고하러 가시면 여러 가지 전달사항을 주고받습니다.

  • 인테리어를 언제부터 언제까지 진행할 건지 신고
  • 세대방문 후 공사동의서 받아오기
  • 엘리베이터 사용료/공사보증금 지불
  • 공사안내문 게시 / 엘리베이터 보양

위 내용의 디테일은 주택마다 상이 / 확장 시 행위허가 필요한 경우는 시군구청에 미리 받아야 함.


#2 철거와 설비 (확장)

철거와 설비

철거의 양과 종류에 따라 견적이 달라집니다.

내가 어느 정도의 공사를 할 건지 우선 공사범위를설정하셔야 해요.

예를 들어 바닥, 천장몰딩, 주방, 신발장, 붙박이 등

철거품목에 대해 미리 정리를 하셔서 섭외하신 철거업체에

대략적인 양과 범위를 전달하시면 됩니다.

여기서 중요한 게 설비와 확장인데요.

 

일반적인 철거의 경우는 복잡할 것도 없고 간단합니다만

설비(온수분배기 이동, 가스배관 철거, 수도내림공사 등)와

확장은 미리 정해놓으셔야 합니다. (설비는 섭외된 설비업자분께 의논 必)

욕실도 전체 철거를 진행하신다면 이때 방수작업과 조적(미장)을 함께 진행해야 합니다.

 확장 시 비내력벽 철거 진행하게 되면

해당 시군 구청에 방문해서 행위허가를 받아야 합니다.

(이건 꽤나 복잡하기에 대행업무 맡기는 걸 추천)


#3 샷시

샷시

샷시가 공정에 들어가는 경우는 샷시를 가장 먼저 걸어야 합니다.

그래야 이후 진행될 모든 공정에서 비나 눈이 오거나

기후상황이 안 좋을 때를 대비할 수 있겠죠.

 

샷시는 실측 후에 제작, 시공 날짜까지  다소 시간이 걸리는 편이니

미리 실측하고 발주 넣을 수 있도록 섭외된 업자분과 함께 인테리어

시작일에서 최소 일주일 전에는 실측하시길 바랍니다.


#4 전기 (스위치, 콘센트, 배선 등)

전기 작업

전기작업은 도배 전 공정들에서 추가적으로 중간중간에 가능해요.

그래도 어느 정도는 정해놔야 합니다.

예를 들어 인덕션 전용선을 뽑을지, 추가하거나 뺄

콘센트 위치와 개수들을 미리 체크해 두고 섭외된 작업자분과

의논하셔서 결정하시면 됩니다.

 

조명의 경우도 어느 위치에 어떤 걸 할지를 정해서 미리 선 작업을 해야 합니다.

(콘센트, 스위치, 조명들의 자재도 필요한 개수 파악 후 직접 구매)

 

그리고 고른 자재에 대한 부분들도 모두

작업자분에게 미리 공유하고 설치에 이상이 없는지 사전에 확인하길 바랍니다.


#5 목공 (목작업) / 방문 교체 및 보수

목공 작업

목공은 인테리어 작업에서 어찌 보면 가장 중요하다고 볼 수 있어요

 목공 공정이 제대로 선행되지 않으면 다음 공정들인

도배, 타일, 필름, 마루 마감이 생각한 것처럼 안될 수 있습니다.

 

그렇기에 목공작업에서도 미리 전달해야 될 내용들을 꼼꼼히 체크하셔야 합니다.

예를 들어 천장몰딩, 걸레받이, 아트월, 천장 평탄화

가벽 만들기, 웨인스콧팅 등 하시는 양과 스타일에 따라서 견적이 달라집니다.

 

또 이 목공 공정이 하루에 끝날지 3일이 걸릴지, 몇 명이 들어와서 작업을

해야 하는지에따라서도 진행하시는 금액이 달라집니다.

 

이 부분을 정확하게 체크하시기 위해선 섭외된 작업자분과 의논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인테리어를 하는 본인이 어느 정도 충분한 사전조사와 공부가 필요합니다.

(자재 또한 진행하는 양과 스타일에 따라 미리 작업자분과 의논)


#6 타일작업 (욕실, 주방, 베란다, 현관 등)

타일 작업

목공까지 하셨다면 여러분은 셀프인테리어에서

가장 머리 아픈 부분들은 어느 정도 지나왔다고 보시면 됩니다.

타일은 자재가 얼마나 필요한지 공간의 면적을 계산하셔서 주문하시면 됩니다.

섭외된 작업자분과 현장을 미리 한번 가 볼 수 있다면 어느 정도의

타일양이 필요한지 여쭤보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타일작업도 몇 명이서 며칠 동안 진행해야 하는지 작업자분과 의논 必)

또 한 가지 욕실의 경우는 변기, 세면대, 각종 설치할 제품들이 많은데요.

이런 세팅까지도 연계해서 가능하신 작업자분을 섭외하시는 것도

복잡한 공정을 줄이는 좋은 방법입니다.


#7 필름

필름 공정

필름 공정은 개인적으로 들이는 비용대비 인테리어 효과가 가장 좋은 공정 중에 하나라고 생각하는데요.

기존 새시나 몰딩, 가구를 교체하지 않고 필름작업만으로도 충분히 깔끔한 연출이 가능하기 때문입니다.

 

본인이 인테리어 마감에 대한 기준을 어느 정도 생각하고 있으냐에 따라 다르겠지만 기존 것을 살리면서

분위기를 바꿀 수 있는 가장 좋은 공정이라고 생각해요.(필름 공정 또한 양에 따라 몇 명의 작업자가

며칠동안 해야 하는지 미리 체크 必) 자재 또한 본인준비 or 작업자분께 의논


#8 바닥 (마루, 장판, 타일)

바닥 공정

바닥공사는 도배나 필름같이 들이는 비용대비 인테리어 효과가 가장 좋은 공정 중에 하나입니다.

물론 마루를 하느냐 타일이나 장판을 하느냐에 따라 가성비가 달라지겠지만

인테리어에서 가장 큰 면적을 차지하는 공간 중 하나이기에 웬만하면 하는 걸 추천드려요.

(예산이 딸리면 얇은 장판으로라도)

 

바닥은 간단합니다.

면적 계산해서 자재량 맞게 주문해 주시면 되고

보통 하루, 이틀이면 시공이 가능합니다.


#9 도배

도배 공정

벽면은 여러 마감재가 있지만 일반적으로 가장 많이 하는 도배를 기준으로 말씀드리려고 합니다.

도배는 작업자분에게 대략적인 평대와 확장여부 방의 개수를 말씀해 주시면

비교견적 받기도 편합니다.

 

그냥 평면도를 보여주셔도 대략적인 견적 내는 데는 무리가 없습니다.

도배는 크게 합지와 실크로 나뉘는데 비용적으로는 합지가 좀 저렴하지만

견적을 받아보시고 예산 내에서 알맞게 선택하시면 됩니다.

다만 시공 후에는 시각적으로 실크가 합지에 비해 훨씬 깔끔하게 연출됩니다.


#10 가구 (주방, 붙박이, 신발장 등)

가구 공정

가구는 우선 어느 브랜드에서 할지 혹은 사제를 할지

생각하신 플랜들을 정하셔서 비교견적 받아보시면 됩니다.

사제나 브랜드의 차이는 모던스타일로 진행할 시에는

시각적인 차이는 거의 없다고 보셔도 무방합니다.

 

다만 환경등급이나 필름, 경첩, AS 같은 부분에서의 차이가

분명 존재하기에 꼭 꼼꼼히 알아보시고 진행하시길 추천드립니다.

가구 공정 또한 업체에게 미리 선행되어야 하는 작업들을

체크하는 것이 포인트입니다.

 

예를 들어 주방의 경우 도면에 따라 타일을 시공해야 하는 면적이 달라지거나

인덕션을 사용 시 전용선을 미리 뺀다거나 벽면 콘센트 위치를

새로 만들어야 한다거나 하는 경우가 많기에 공사 시작 전에

가구업체와이런 부분들을 꼭 먼저 체크하시길 바랍니다. 


#11 중문/조명

중문/조명

중문은 일반적인 경우 오래 걸리지 않고 비교적 간단한 공정이기에 별다른 언급은 안 하겠습니다.

중문 업체에 의뢰하셔서 디자인과 색상 고르셔서 견적 받고 진행하시면 됩니다. 

해당 공정은 인테리어 공정의 제일 마지막에 하시는 걸 추천드립니다.

(중문을 미리 설치하면 왔다 갔다 할 때 중문의 하부레일이 손상되거나 찍힐 일이 많기 때문)

 

조명설치는 자재를 본인이 미리 준비하시고 전기작업 해주신 분께

조명설치를 함께 요청하는 걸 추천드립니다.

전기작업에서도 언급했듯 조명의 위치나 종류를 미리

꼭 체크하셔서 막상 설치할 때 난감한 경우가 없길 바랍니다.


#12 입주청소 

입주 청소

입주청소는 평에 따라 간단하게 비교견적을 받을 수 있습니다.

후기나 평을 잘 보시고 선택하시는 게 좋아요.

입주청소를 가끔 직접 하려고 하시는 분들이 계신데

저는 극구 말리고 싶습니다.

 

우리가 일반적으로 생각하는 청소를 생각하시면 안 되는 이유가

인테리어 공정에서 나오는 엄청난 분진과 먼지들이

샷시 틈, 문틈, 마루 틈이나 심지어 천장에도 있기 때문에

직접 하시려다가 몸살 나서 병원비가 더 나오는 경우가 있습니다.

그러니 업체를 선정하셔서 맡기시길 바랍니다


오늘은 셀프 인테리어 공정에 대해 정말 간단하게 적어보았습니다.

(정말 진짜 대략적인 내용입니다.)

적으면서도 디테일하게 더 설명할 부분들이 넘쳐나지만

한도 끝도 없기에 이번 글의 취지는 오히려

 

'아 인테리어 비용 너무 비싼데, 셀프 인테리어로 해볼까'라고

생각하신 분들에게 해야 될지 말아야 될지 자체를

어느 정도 결정하실 수 있도록 쓴 글이라고 봐주시면 좋겠습니다.

(실제 글 보시고 '아 그냥 턴키로 해야겠다^^라고 결정하시는 분들이 적지 않으실 꺼라봐요.)

\그만큼 인테리어는 알면 알수록, 공부하면 할수록

끝이 없기 때문입니다ㅠ

다음에는 디테일한 부분에 대해서도 다뤄보는 글을 써볼게요!


오늘도 여러분의 인테리어 라이프에 작은 도움이 되셨길 바라면서

안녕 바이 짜이찌엔 츄스!

반응형

댓글